안녕하세요?
오늘은 시간이 부족하여 비교적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글로 작성해 보려고 합니다.
이 글을 끝까지 보고 나면 머리를 한 방 맞으실 겁니다.
영국의 캠브릿지 대학은 영어권에서 가장 오래된 전통을 가진 대학 중 하나이며, 공립 연구중심 대학교입니다.
아래 내용은 캠브릿지 대학에서 발표한'단어 우월 효과'에 대한 연구 내용입니다.
캠릿브지 대학의 연결구과에 따르면, 한 단어 안에서 글자가 어떤 순서로 배되열어 있는가 하것는은 중하요지 않고, 첫째번와 마지막 글자가 올바른 위치에 있것는이 중하요다고 한다. 나머지 글들자은 완전히 엉진창망의 순서로 되어 있지을라도 당신은 아무 문없제이 이것을 읽을 수 있다. 왜하냐면 인간의 두뇌는 모든 글자를 하나 하나 읽것는이 아니라 단어 하나를 전체로 인하식기 때이문다.
다 읽어 보셨다면, 혹시 느끼신 점이 있나요?
연구 내용은 이해가 되시죠?
저는 한글 버전을 읽을 때는 아무 문제 없이 읽어 내려갔는데, 아래 영어버전은 읽기가 힘드네요.
The paomnnehal pweor of the hmuan mnid Aoccdrnig to a rscheearch at Cmabrigde Uinervtisy, it deosn't mttaer in waht oredr the ltteers in a wrod are, the olny iprmoetnt tihng is taht the frist and lsat ltteer be at the rghit pclae. The rset can be a toatl mses and you can sitll raed it wouthit porbelm. Tihs is bcuseae the huamn mnid deos not raed ervey lteter by istlef, but the wrod as a wlohe.
다 읽어 보셨다면, 혹시 느끼신 점이 있나요?
저는 영어가 짧아서 그랬는데, 혹시 영어 역시 잘 하셔서 영어원문도 별다른 느낌 없이 읽으 셨다면 다시 위로 올라가서 한글 부터 또박 또박 다시 한 번 읽어 보세요.
자~ 이제 연구 결과가 무엇인지 정확하게 아시겠죠?
혹시 한글 버전을 읽었을 때는 몰랐는데 영어 버전을 읽었을 때 이상한 점을 발견 하셨다면 왜 그랬을까요?
이 내용을 처음 봤을 때 생각 했던 점은, '만약 이제 막 한글을 배우는 아이에게 읽으라고 했다면 내용 이해는 못 했을 지언정 처음부터 제대로(? 글자 그대로) 읽었을 텐데' 였습니다.
즉, 영어를 읽으면서 어려움을 느끼셨다면 영어는 우리에게 한글만큼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도리어 이상한 점을 빨리 발견할 수 있었다는 것이죠.
제가 이 내용을 보면서 느꼈던 점은 '눈앞에 있는 그대로를 보지 않고, 내가 보고 싶은 것(경험에 비추어 섯불리 판단하여)을 보는 경우가 많겠구나' 였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무의식중에 이렇게 내가 보고 싶은대로 보고, 판단하며 살아가고 있진않은지?
특히 조금 경험해 본 일, 처음 만나는 사람 보다는 조금은 편해진 주변사람들과의 행동에서..
'이까짓거?' 하며 쉽게 판단해 버리지는 않는지?
'내가 너 보다 경험이 얼마나 많은데? 모르면 그냥 시키는 대로 해' 하고 아이의, 부하직원의, 나보다 어린 사람, 더 나아가 '저 사람은 나보다 못해'라는 선입견을 가지고 누군가를 무시하고, 실수를 하고 있지는 않은지?
오늘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게됩니다.
단어 우월 효과란?
단어 우월 효과(word superiority effect)는 동일한 문자라도 단어 속에 나타나면 비단어 속에 나타날 때보다 더 정확하게 인지되는 것을 말한다. 즉, 문자 정보의 인지 과정에서 단어를 구성하고 있는 문자에 대한 정확한 지각보다 단어 전체의 지각을 통해 인지하게 된다는 것이다.
단어 우월 효과는 word shape 인지론의 탄생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 라틴 문자의 word shape 인지론이란 단어를 인지과정에서 단어를 구성하는 개별 낱글자의 지각을 통하지 않고, 개별 낱글자들로 구성된 단어의 외곽 형태의 특성의 인지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즉, 단어의 인지과정은 단어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를 지각하는 과정이 아니라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단어의 총체적인 이미지 인지를 통해 단어를 인지한다는 이론이 나타난 것이다.
'목표있는 삶 > 생각해 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긍정적 생각 -제갈량과 홍타시 (0) | 2017.01.24 |
---|
댓글